더운 여름 7월과 8월 중순사이에는 삼복이 있습니다. 삼복(초복. 중복. 말복)에 대해 알아보고 복날에 먹는 대표음식인 개장국과 삼계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중 삼복의 첫째 복으로 여름의 시초를 말하며. 하지 이후 제3경(庚) 일을 초복이라 하는데, 대략 7월 11일부터 7월 19일 사이에 옵니다. 이 시기는 소서(小暑)와 대서(大暑) 사이가 되므로 더위가 본격적으로 오는 시기입니다.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세 번의 절기. 첫 번째 복날을 초복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중복, 세 번째 복날을 말복이라 합니다.
1. 복날이란?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중복(中伏), 세 번째 복날을 말복(末伏)이라 하며. 초복은 하지(夏至)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 (立秋)로부터 첫 번째 경일입니다.
복날은 열흘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리며. 그러나 해에 따라서는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월복(越伏)이라고 하며.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시기로 몹시 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복더위.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 연유합니다.
복날에는 보신(補身)을 위하여 특별한 음식을 장만하여 먹는데요. 과거에는 개장국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현대에는 닭백숙을 잘 만들어 먹었습니다. 또, 팥죽을 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도 걸리지 않는다 하여 팥죽을 먹기도 합니다.
한편, 아이들이나 여인(아낙)들은 참외나 수박을 먹으며, 어른들은 산간계곡에 들어가 탁족(濯 足: 발을 씻음)을 하면서 더위를 피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해안지방에서는 바닷가 백사장에서 모래찜질을 하면서 더위를 이겨내기도 하였으며. 복날과 관계있는 속신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고 합니다. 이러한 속신 때문에 복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복 날에 목욕을 하였다면, 중복 날과 말복 날에도 목욕을 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복날마다 목욕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 문입니다.
복날에는 벼가 나이를 한 살씩 먹는다고 하는데요. 벼는 줄기마다 마디가 셋 있는데 복날마다 하나씩 생기며, 이것이 벼의 나이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또한 벼는 이렇게 마디가 셋이 되어 야만 비로소 이삭이 패게 된다고 합니다.
한편 ‘복날에 비가 오면 청산(靑山) 보은(報恩)의 큰애기가 운다. 는 말이 있으며. 이것은 충청북도 청산과 보은이 우리나라에서는 대추가 많이 생산되는 지방인이라 유래한 속설이며.
대추나무는 복날마다 꽃이 핀다고 하는데, 복날에는 날씨가 맑아야 대추열매가 잘 열리게 됩니다. 그런데 이날 비가 오면 대추열매가 열리기 어렵고, 결국 대추농사는 흉년이 들게 됩니다. 따라서, 대추농사를 많이 하는 이 지방에서는 혼인비용과 생계에 있어서 차질이 생기기에 이를 풍자해서 만든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2. 삼복에 먹는 보양식
복날에는 개장국과 삼계탕을 즐겨 먹었습니다. 특히 복날 한적한 숲 속의 냇가로 가서 개를 잡아 개장국을 끓여 먹는 풍속을 복달임, 복놀이라 했으며, 함경도에서는 개 잡는 것을 개놀음이라 불렀고. 또 복날 더위를 먹지 않고 질병에 걸리지 않는다 하여 팥죽이나 수박, 참외를 먹었습니다.
1800년대 유만공(柳晩恭)은 복날의 풍경을 이렇게 읊었습니다. 참외 쟁반에다가 맑은 얼음을 수정같이 쪼개 놓으니, 냉연한 기운이 삼복을 제어하고. 푸줏간에는 염소와 양 잡는 것을 보지 못하겠고, 집집마다 죄 없는, 뛰는 개만 삶아 먹는다.” 복날 개고기를 먹는 것은 더위를 이기고 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홍석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개를 삶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것.이 개장(狗醬)이라 하였으며. 닭이나 죽순을 넣으면 더욱 좋고. 또 개장국에 고춧가루를 타고 밥을 말아먹으면서 땀을 흘리면 기가 허한 것을 보강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생각건대 『사기(史記)』 진덕공 2년(기원전 676)에 비로소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안 대문에서 개를 잡아 해충의 피해를 막은 것으로 보아 개를 잡는 것이 복날의 옛 행사요, 지금 풍속에도 개장이 삼복 중의 가장 좋은 음식이 된 것이다.”라고 하였습니다.
복날 개고기를 먹는 까닭은 다름 아닌 부족한 쇠[金]의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서이며. 오행으로 보면 개는 서쪽에 해당하며 금(金)에 속합니다. 화기가 극성을 부리는 복날은 불이 쇠를 녹이는 화극금(火克金)이 되어 금의 기운이 쇠퇴하기 때문에 금의 기운이 왕성한 개를 먹어 부족 해진 쇠를 보충하고자 했던 것입니다. 그래야만 더위로 허해진 심신의 균형을 바로 세울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복날 각 지방에서는 술과 음식을 준비해 계곡이나 산을 찾아 하루를 즐겁게 보내며 더위를 잊었는데, 서울에서는 삼청동 성조 우물물을 먹으며 계곡물에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였습니다. 이날 부녀자들은 약수에 머리를 감으면 풍이 없어지고 부스럼이 낫는다고 하여 해마다 행하였는데, 이를 ‘물 맞는다’라고 합니다.
3. 개장국
가.정의
된장을 푼 국물에 개고기를 넣고 갖은양념을 해서 끓인 국. 태음력 6월과 7월 사이에 있는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의 삼복에 계삼탕(鷄蔘湯)이나 팥죽과 같이 더위를 이기기 위해 먹는 음식의 하나입니다. 개장국은 다른 말로 개장, 구장(狗醬), 지양탕(地羊湯), 보신탕(補身湯), 영양탕(營養湯), 사철탕이라 부릅니다.
나. 내용
고고학 유물과 문헌에 따르면, 개고기를 먹은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러나 개장국을 식용한 기록은 조선 중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나옵니다. 안동 장 씨의 『음식디미방』에는 개장, 개장국 누르미, 개장고지 누르미, 개장찜, 누런 개 삶는 법, 개장 고는 법과 같은 각종 개고기 조리법이 상세하게 적혀 있습니다. 빙허각 이 씨의 『규합총서(閨閤叢書)』에도 증구법(蒸狗法)이라 하여 개장 조리법이 나옵니다.
『산림경제』 동과증 선법(冬瓜烝膳法)에도 개장 조리법이 상세히 적혀 있으며. 이와 같이 개장에 대한 자세한 조리법이 17세기 이래 등장한 것만 보아도, 조선 후기에는 이미 보편적인 음식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19세기 중반이 되면 시장에서 개장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목로주점도 생겼습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당시에 삼복이 되면 개장국 먹는 것이 유행했다고 하며. 곧 개를 삶아 파를 넣고 푹 끓인 것을 구장(狗醬)이라 합니다. 닭이나 죽순을 넣으면 더욱 좋으며. 또 개장국에 고춧가루를 타고 밥을 말아서 음식으로 먹었습니다. 그렇게 하여 땀을 흘리면 더위를 물리치고 허한 것을 보충할 수 있고. 그러므로 시장에서도 이것을 많이 판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동국세시기』를 쓴 홍석모(洪錫謨)는 삼복에 개장 먹는 풍속에 대해 다음과 같이 연원을 밝혀 놓았습니다. 『사기(史記)』에 진덕공(秦德公) 2년에 비로소 삼복 제사를 지내는데 성안 사대문에서 개를 잡아 충재(蟲災)를 막았다고 했으며. 그러므로 개 잡는 일이 곧 복날의 옛 행사요, 지금 풍속에도 개장이 삼복의 가장 좋은 음식이 되었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고려 말의 문집에는 삼복 풍속에 개장 먹는 일이 없고 팥죽을 먹는다고 했으니, 그 유행이 조선에 들어와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그런데 19세기 중반 이후 조선을 찾은 구미인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개장 먹는 풍습을 조선에서 가장 특이한 모습으로 보고 기록을 남겼습니다. 프랑스인 가톨릭 선교사 달레(Dallet, Claude Charles)는 『조선천주교회사』에서 돼지와 개가 엄청나게 많으나, 개는 지나치게 겁이 많으므로 푸주의 고기로밖에 거의 쓰이지 않고. 개고기는 맛이 아주 좋다고 했고. 그야 어쨌든 조선에서는 가장 훌륭한 음식의 하나다.라고 했습니다.
아마도 달레 신부는 개고기를 구미에 소개한 최초의 외국인일 가능성이 많으며. 하지만 20세 기에 들어와 개장국을 야만적인 음식으로 이해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1942년 무렵에 개장국 이란 이름은 보신탕으로 바꿔 개고기가 주재료임을 숨기게 되었고, 그 이후에 다시 영양탕이나 사철탕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개장국을 더운 여름에 양기(陽氣)를 보충해 주는 음식으로 이해하였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개고기가 오장을 편안하게 하며, 혈맥을 조절하고,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며 골수를 충족시켜 허리와 무릎을 온(溫)하게 하고, 양도(陽道)를 일으켜 기력을 증진시킨다.라고 하였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개장국을 먹으면서 땀을 내면 더위를 물리쳐 보허(補虛)한다고 했으며, 『열양세시기(列陽歲時記)』에는 복날에 개장국을 끓여 양기를 돕는다고 했습니다. 특히 개장국의 주재료로 황구(黃狗)가 으뜸으로 쓰였습니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개장국은 전골, 찜과 함께 삼복에 가장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개장국을 끓이는 방법으로 쇠고기를 이용한 음식은 육개장이 있습니다.
4. 삼계탕
가. 정의
닭에 인삼을 넣어 끓인 국으로, 삼복 시식의 하나. 계삼탕(鷄蔘湯)이라고도 합니다.
나. 내용
『삼국지(三國志)』와 『수서(隋書)』에 한(韓)에는 꼬리 길이가 5자[尺] 되는 세미계(細尾鷄)가 있고, 백제에는 닭이 있다 하였습니다. 백제시대에는 인삼도 있었으나, 적어도 초기 철기시대 이후 식용으로 해오던 닭이 백제시대에 들어와 인삼을 부재료로 하여 닭과 함께 조리한 삼계탕 류가 있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정창원(正倉院) 문서에는 일본의 나라(奈良) 시대인 756년 시약원(施藥院)에 인삼 50근을 올렸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당시 인삼을 일본에까지 수출한 점으로 보아 강장약으로서의 인삼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황색의 암탉은 성평(性平)하고 소갈을 다스리며, 오장을 보익하고 정(精)을 보할 뿐만 아니라 양기를 돕고 소장을 따뜻하게 하며, 인삼, 성온(性溫)하고 오장의 부족을 주치 하며 정신과 혼백을 안정시키고 허손(虛損)을 보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삼복더위에 보신을 위하여 알 낳기 전의 어린 암탉인 연계(軟鷄, 생후 6개월까지의 닭) 뱃속에 찹쌀, 밤, 대추, 마늘을 넣고 푹 끓여 먹는 것이 연계백숙(軟鷄白熟)이고, 연계백숙에 인삼을 더하면 계삼탕이 됩니다.
『서울잡학사전』에는 여름철 개장국보다 더 여유 있는 집안의 시식입니다. 계삼탕이 삼계탕이 된 것은 인삼이 대중화되고 외국인들이 인삼의 가치를 인 정하게 되자, 삼을 위로 놓아 명칭을 다시 붙인 것이다.”라고 계삼탕이 삼계탕이 된 이유를 소개했습니다.
한편, 『음식지미방(飮食知味方)』, 『산림경제(山林經濟)』, 『규합총서(閨閤叢書)』, 『시의전서(是議 全書)』, 『주방문(酒方文)』, 『부인필지(婦人必知)』 같은 고조리서에는 삼계탕이나 계삼탕과 같은 찬품에 대한 기록은 없고, 다만 연계탕, 연계찜은 기록되어 있습니다.
19세기말에 쓰인 것으로 알려진 『시의전서』에서 연계탕 조리방법을 좋은 연계를 백숙하여 건져서 뼈를 다 바르고 살은 뜯어 육개장 하듯 하되.라고 한 것을 보면, 19세기말의 연계탕은 육개장과 같이 끓인 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 의의
연계탕 역시 육개장과 마찬가지로 구장(狗醬)이 식성에 맞지 않는 사람을 위하여 20세기에 들 어 복날의 대체식품이 된 것이며, 이후 인삼이 대중화되면서 연계탕이 삼계탕으로 된 것입니다. 닭이 가진 평(平)한 성질에 인삼이 가진 온성을 결합시켜 이것을 상극설에 적용시켰는데, 삼계(蔘鷄)인 화(火)가 복(伏)인 금(金)을 극살 한다는 음양오행설의 상극(相剋) 법칙인 화극금 (火剋金) 설에 따라 복날의 시식이 되었습니다.
무더운 여름날씨 삼복의 유래와 대표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무더운 여름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내시길 바랍니다. 참고:네이버 지식백과, 두산백과, 동국세시기,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하림, 한국세시풍속사전,
'일상,사회,생활,정보 및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환자 완치 가능 (0) | 2023.07.08 |
---|---|
적자 공항 (2) | 2023.07.06 |
출산율 증가 전국 최다 (0) | 2023.07.02 |
조국딸 조민 가수데뷔 내고양이 발표 (0) | 2023.06.29 |
톰크루즈 내한 미션임파서블 7편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