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진관련

jpeg 파일과 raw 파일의 개념과 차이점과 화소수 정리

by 데빗의사진공간 2024. 4. 12.
반응형

사진을 촬영하면서 촬영할 때 화질을 jpeg와 raw를 선택하게 되어있습니다. 초보들은 jpeg와 raw 파일의 차이점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저에게 질문을 자주 하기도 합니다.

 

우리가 늘 볼 수 있는 휴대폰 갤러리의 사진과 인터넷 광고사진, 그리고 우리가 눈으로 보는 모든 사진 이미지는 대부분 jpg 파일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jpeg-raw
jpeg와 raw의 표시

 

움직이는 사진의 경우는 gif 파일이며 배경이 투명한 사진의 경우는 png 파일입니다. 대부분 DSLR 카메라 설정에는 RAW 파일(RAW file)과 JPEG(jpeg file). 두 가지 촬영 포맷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시간은 jpeg 파일과 raw 파일의 개념과 차이점. 화소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raw 파일은?

raw파일의 사전적의미는

1. 익히지 않은 날것의.

2. 원자재의 가공되지 않은.

3. 가공(처리)되지 않은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처럼 raw 파일은 사진을 촬영할 당시의 모든 정보를 갖고 있는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raw 파일은 카메라 제조사마다 다른 확장자를 가지고 있으나 그 내용은 같습니다. (니콘-NEF, 캐논 -CR2, 소니-SR2 등)그리고 이렇게 각기 다른 확장자를 통합하기 위해 어도비에서는 DNG 확 장자를 선보였으며. raw 파일은 무손실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비압축의 형태로 저장한다는 점이 같습니다.

 

그래서 촬영 후 보정 단계에서보다 섬세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다만 jpg에 비해 용량이 크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raw는 카메라의 센서로 받아들인 화상에 대한 정보를 그대로 기록해 둔 파일로 다시 말해 순수하게 촬영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정보 파일입니다.

 

raw 파일은 무손실 파일로 카메라 센서에서 포착된 비압축 데이터를 말합니다. 디지털 네거티브라고도 하는 raw 파일은 사진의 모든 잠재력을 이끌어내는데 사용되는 사진의 원재료와 같고 jpeg 파일보다 용량이 큽니다. 대부분 사진을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은 편집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raw 파일을 이용하여 촬 영합니다.

 

raw 파일은 raw 파일 편집 프로그램으로 보정을 하면 화질 저하 없이 보기 좋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크기가 너무 크고 변환 프로그램(DPP)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참고로 기본 상태의 포토샵에서는 바로 raw 파일을 불러들일 수 없어서 camera raw를 설치해야 포토샵에서도 raw 파일을 바로 불러서 보정할 수 있습니다.

 

2.  jpeg 파일은?

앞에서 말했듯이 raw 파일은 압축되지 않은 모든 데이터를 남긴 파일이라서 용량이 큽니다. 그에 비해 jpg는 이미지 압축 파일로 간단하게 이미지 전용 파일로서 용량이 적지만 이미지 디테일을 생략해 raw 파일보다 이미지 품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jpeg 파일은 raw 파일의 압축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마치 zip 파일과 같습니다. raw가 갖고 있는 모든 정보를 압축하여 여러 개의 정보가 아닌 한 장의 사진으로 저장된다고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jpeg는 raw 파일에 비해 용량이 작아져 보다 다양한 곳에 이용하기가 쉽습니다.

 

jpeg 파일은 수많은 정보를 작은 패키지로 압축해 냅니다. 하지만 jpeg보다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raw가 유연하게 화이트 밸런스와 노출을 조정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효율적인 압축 기능 외에도 jpeg 가 널리 사용되는 이유는 이미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많은 처리 작업을 수행하므로 사진의 완성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입니다.

raw와 jpeg에 대해 "더 알아보기"

3. raw와 jpeg의 차이점

■raw와 jpeg의 차이점과 서로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겠습니다.

 

▶저장 공간은 고품질의 이미지를 출력해 내는 raw 파일의 단점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촬영 시 충분한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집할 때 jpeg보다 이미지 품질이 높은 raw 파일을 사용하면 원본의 훼손 없이 이미지를 세 밀하게 보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동작범위는 raw 파일의 가장 큰 이점 중 하나는 iso를 높게 설정하더라도 거친 노이즈가 없다는 것이면 편집시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을 복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화이트밸런스는 jpeg 파일의 경우 화이트밸런스가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따라서 raw 이미 지 보다 jpeg 이미지가 카메라에서 볼 때 완성도가 더 높아 보입니다.


■  raw와  jpg 파일의 일반적인 차이점.

 

▶파일 크기는 JPG < RAW.

▶후처리 용이성 JPG < RAW.

▶동적 범위는 JPG < RAW

※ RAW 파일이 JPG 파일에 비해 ISO를 높게 설정할 때 나타나는 노이즈나 명부, 암부 디테 일의 손실 정도가 더 적습니다.

 

▶화이트밸런스 섬세도는 JPG < RAW.

※이해하기 쉬운 표현으로 화이트밸런스 조정 시 RAW 파일은 1단계씩, JPG 파일은 5단계씩 변경됩니다. 캐논 5d mark 3의 경우 jpeg+raw 촬영 기능이 있어서 jpeg 또는 raw 파일로만 저장되게 설정할 수도 있고 두 개 다 동시에 저장되게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캐논 화질 선택 설정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면 raw은 파일의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고 jpeg로 정한 경우에는 이미지 해상도나 압축률(고 or 저)을 정할 수 있습니다.

4. 기록 화소수 정리

◆ RAW.

▶RAW - 약 22.10 메가픽셀(5760 x 3840).

▶M - RAW: 약 10.50 메가픽셀(3960 x 2640).

▶S - RAW: 약 5.50 메가픽셀(2880 x 1920).

 

◆ JPEG.

▶L (Large): 약 22.10 메가픽셀(5760 x 3840) => 센서의 최대 해상도.

▶M (Medium): 약 9.80 메가픽셀(3840 x2560).

▶S1 (Small 1): 약 5.50 메가픽셀(2880 x 1920).

▶S2 (Small 2): 약 2.50 메가픽셀(1920 x 1280).

▶S3 (Small 3): 약 350,000 픽셀(720 x 480).

 

5. 결 론

저의 경우에도 raw 파일로 찍어서 편집 후 jpeg로 변환해서 비교해 보기도 해봤습니다만. 일반적으로 sns에 올리는 작은 파일은 생각보다 그렇게 큰 차이가 있진 않은것 같습니다. 투자된 시간 대비 효율이 안 나오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용량이 큰 raw 파일은 빼고 jpeg 로만 설정을 세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드시 이것이 맞다라고 하는 것보다 정답은 없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환경을 세팅해서 사용하면 좋을듯합니다.

 

촬영의 종류로 제품 사진, 누끼사진, 잡지촬영 등.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사진에는 보다 섬세한 보정이 가능한 RAW 파일로 촬영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일반인이 RAW 파일로 촬영을 하고 후보정을 하는 과정이 꽤나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 스튜디오에게 맡기는 것이 훨씬 완성도가 높고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RAW 파일로 촬영을 했을 경우 원본 사진의 용량도 크기 때문에 SD CARD 용량의 작은 경우 어느 정도 촬영을 하게 되면 저장용량이 넘치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린다면 디테일한 보정을 좋아하거나, 고퀄리티의 사진을 촬영하는 전문가분들 아닌 이상에는 JPEG 파일을 사용해도 무관하며.

 

저도 특별한 사진을 촬영하지 않을 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JPEG로 촬영을 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린다면 촬영하는 사람이 어떻게 얼마나 어디서 잘 촬영해 주느냐가 제일 중요한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